Linux
3주차 / 3.22 수 <Linux>CentOS
mickey7
2023. 3. 22. 10:51
CHAPTER 03 문서 편집
- vim은 유닉스에서 제공하는 편집기인 vi를 업그레이드한 것으로 기본적인 사용법은 vi와 같다.
- 리눅스의 GUI환경인 그놈에서 제공하는 gedit은 GUI용으로만 제공, 터미널에서 작업할 때 파일을 편집하려면 다른 형태의 편집기 필요. --> 명령 처리와 파일 편집을 위해 매번 gedit와 터미널을 왔다 갔다 할 수는 없으니까
-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편집기는 ? -> 유닉스에서 사용했던 행 편집기(라인 편집기)와 화면 편집기
리눅스 편집기 종류
- 행 단위 편집기 - ed, ex, sed
- ed는 유닉스 초기 행편집기로 지금은 거의 사용 X
- ex는 행 편집기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vi에 연결하여 vi를 더욱 강력하게 하는 다양한 기능 제공
- sed는 스트림 편집기로, 일반 편집기와 달리 지시된 명령에 따라 파일의 내용을 일괄적으로 바꿔서 출력. 셸 스크립트 작성할 때 파일을 읽어들여 편집하는 기능 수행.
- 화면 단위 편집기 - vi, emacs(이맥스)
- vi는 ex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ex편집기의 명령 그대로 사용 가능, 사용하는 명령이 매우 단순.
- emacss는 제공하는 기능이 매우다양.But, 사용법이 어렵고 복잡하여 전문적인 애호가 위조로 사용.
- GUI 편집기 - gedit
모드형과 비모드형 편집기
- 모드형 = 입력 모드와 명령 모드 구분
- 입력 모드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 명령 모드는 텍스트를 수정, 삭제, 복사, 붙이기를 하는 등 편집을 하는 모드.
- 모드 전환 키 필요.
- +마지막 행 모드를 명령 모드에 포함하여 구분하기도 함 --> 마지막 행 모드에서 사용하는 명령은 ex 편집기의 명령
- 비모드형 = 두 모드가 구분 X
- 윈도에서 문서작성으로 사용하는 한글과 워드는 비모드형 편집기.
- 편집 기능을 Ctrl이나 Alt 같은 특수 키와 함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