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시셀의 경우 - $가 기본적으로 표시
-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 #으로 표시
- 상단의 'ch@localhost:~'
- ch = 사용자 계정 이름, localhost = 호스트의 이름으로 서버 자체 의미, ~ 기호 = ch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 행 지우기 = ctrl + u
명령의 구조와 사용
형식 : 명령[ 옵션 ] [ 인자 ]
TMP 또는 TEMP란 "Temporary(일시적인, 임시적인)"의 줄임말, 컴퓨터에서는 "임시 파일"이나 "임시 디렉토리(폴더)"를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Chapter2
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분
일반파일
데이터 저장 용도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 같은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 부름 --> 특정 으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내용 확인 가능
디렉터리
리눅스에서는 디렉터리도 파일취급.
디렉터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 저장.
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ex.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
장치 파일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각종 장치도 파일로 취급.
장치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대부분의 장치 파일은 /dev 디렉터리 아래에 위치.
p.80
디렉터리의 계층 구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주 4/3 월 리눅스 CentOS (0) | 2023.04.03 |
---|---|
4주 리눅스 <CentOS> 추가 (0) | 2023.04.03 |
4주차 / 3.27 월 맥에서 CentOS (0) | 2023.03.29 |
3주차 / 3.22 수 <Linux>CentOS (0) | 2023.03.22 |
3주- 3 /20 월 Linux CentOS9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