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10 5주 4/5 수 리눅스 CentOS 프롬프트 설정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 OS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참조하는 값을 환경변수라고 한다. uname = 사용중인 운영체제 이름 컬러 프롬프트 설정 Chapter 05. 파일 접근 권한 관리 파일 접근 권한 기호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 숫자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 기본 접근 권한 설정 특수 접근 권한 기본 접근 권한 644 이므로 마스크 022이면 그룹과 기타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 2023. 4. 6. 5주 4/3 월 리눅스 CentOS 입출력 방향 변경 리눅스는 장치도 파일로 관리. 셸은 작업 중. 필요한 파일에 일련번호를 붙여서 관리하는데 이를 '파일 디스크립터'라고 함. 리다이렉션(redirection) = 표준 입출력 장치를 파일로 바꾸는 것 ls의 옵션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숨김파일도 포함) 배시셸 환경 설정 셸이 사용하는 변수에는 셸 변수와 환경 변수가 있다. 셸 변수 현재 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서브 셸로는 전달되지 앟ㄴ는다. 환경 변수 현재 셸뿐만 아니라 서브 셸로도 전달된다. 환경 변수의 이름에는 대문자를 사용. 셸 변수와 환경 변수 출력 set - 셸 변수와 환경 변수 모두 출력 env - 환경 변수만 출력 2023. 4. 3. 4주 리눅스 <CentOS> 추가 Ch04 셸 사용법 리눅스 기본셸 = 배시셸 유닉스 기본셸 = 본셸 셸의 기능 명령어 해석기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전달하는 해석기와 번역기 기능, 로그인할 때 실행되는 셸을 로그인 셸이라고 함, 프롬프트 - 셸이 사용자의 명령을 기다리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 내장 명령이 아니라면 별도의 명령 파일이 있음을 뜻하므로, 셸은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고 이 자식 프로세스가 명령 파일을 실행하게 한다. 자식 프로세스가 명령 파일을 실행하는 동안 부모인 셸은 대기 상태가 되며, 자식 프로세스가 실행을 종료하면 대기 상태 해제되어 복귀. 프로그래밍 기능 셸의 프로그래밍 기능을 이용하면 여러 명령ㅇ을 사용하여 반복저긍로 수행하는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는데, 이렇게 작성된 셸 프로그램을 .. 2023. 4. 3. 맥북 CentOS9운영체제 배시셀의 경우 - $가 기본적으로 표시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 #으로 표시 상단의 'ch@localhost:~' ch = 사용자 계정 이름, localhost = 호스트의 이름으로 서버 자체 의미, ~ 기호 = ch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행 지우기 = ctrl + u 명령의 구조와 사용 형식 : 명령[ 옵션 ] [ 인자 ] TMP 또는 TEMP란 "Temporary(일시적인, 임시적인)"의 줄임말, 컴퓨터에서는 "임시 파일"이나 "임시 디렉토리(폴더)"를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Chapter2 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 파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파일, 디렉터리, 심볼릭 링크, 장치 파일로 구분 일반파일 데이터 저장 용도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텍스트 파일 --실행.. 2023. 3. 29. 4주차 / 3.27 월 맥에서 CentOS vi 사용법 vi : 리눅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면 편집기 명령 모드 -> 마지막 행 이동 : , / , ? 3가지 키 명령 모드와 마지막 행 모드 역할 구분 "(큰 따옴표) 앞에 적어두는 것 필수! 2023. 3. 29. 3주차 / 3.22 수 <Linux>CentOS CHAPTER 03 문서 편집 vim은 유닉스에서 제공하는 편집기인 vi를 업그레이드한 것으로 기본적인 사용법은 vi와 같다. 리눅스의 GUI환경인 그놈에서 제공하는 gedit은 GUI용으로만 제공, 터미널에서 작업할 때 파일을 편집하려면 다른 형태의 편집기 필요. --> 명령 처리와 파일 편집을 위해 매번 gedit와 터미널을 왔다 갔다 할 수는 없으니까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편집기는 ? -> 유닉스에서 사용했던 행 편집기(라인 편집기)와 화면 편집기 리눅스 편집기 종류 행 단위 편집기 - ed, ex, sed ed는 유닉스 초기 행편집기로 지금은 거의 사용 X ex는 행 편집기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vi에 연결하여 vi를 더욱 강력하게 하는 다양한 기능 제공 sed는 스트림 편집기로,.. 2023. 3.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