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deJs5

템플릿 엔진 템플릿 엔진을 설명하기 전에 템플릿 엔진의 필요성을 부연하기 위해 정적 파일과 동적 파일 설명 정적파일 html,css,js 파일과 같이 한번 만들어진 자원이 언제나 똑같이 보이는 리소스 동적파일 사용자와 서버가 상호작용하며 페이지 내용의 일부 혹은 전부가 그때그때 생성되는 파일 정적 파일과 동적 파일의 장단점은 서로 균형(Trade-off)을 이룸.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 각 장점을 모두 얻을 수 있음. '템플릿 엔진'이란? 템플릿 양식과 특정 데이터 모델에 따른 입력 자료를 합성하여 결과 문서를 출력하는 소프트웨어 변수 사용 가능 변경사항 반영 위해 서버 재시동X 코드량 감소 재사용성 증가 유지보수 용이 템플릿 엔진 종류 pug(jade) ejs(Embedded JavaScript Template) .. 2024. 4. 16.
웹 소켓(Wep socket) 사용과 버퍼출력 오류 Wep Socket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먼저 보내지 않아도 서버 측에서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 되었다. 3개의 파일을 우선 만들고 app.js는 서버 파일 const morgan = require("morgan"); const cookieParser = require("cookie-parser"); const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webSocket = require("./socket.js"); // 포트 설정 app.set("port", process.env.PORT || .. 2024. 3. 10.
express 모듈을 사용해 서버 만들기(2) 실제 정보는 서버에만 저장해두고 브라우저에는 암호화된 키 값만 보내고 그 키 값으로 실제 값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세션Session이라고 한다. 기본 모듈에서 자주 쓰이는 모듈 - global, process, os, util, fs, url 미들웨어 - 기본적인 서비스 외에 다른 부가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자주 사용하는 미들웨어 - static, Morgan, cookie-parser, express-session 2024. 2. 26.
express 모듈을 사용해 서버 만들기(1)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 - 모듈 공장 - 파트 - 기계 .gitignore 추가해서 git에 추가되지 않게 하기 npm install -g / 전역 설치 시 사용, 현재 프로젝트 외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 / / node_modules/ 파일에 패키지가 설치, package.json에는 기록되지 않습니다. / http 요청 메서드 GET : 리소스를 얻을 때 사용합니다. HEAD : 문서의 정보를 얻을 때 사용합니다. POST : 리소스를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PUT : 내용 전체를 갱신할 때 사용합니다. PATCH : 내용을 부분적으로 갱신할 때 사용합니다. DELETE :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미들웨어 사용, static 모음 폴더(/public) 활용 2024. 2. 25.
nodeJS모듈로 서버 만들기 모듈 시스템 사용이유에는 ‘전역변수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1)module.exports=프로퍼티; —> 하나의 값(원시 타입, 함수, 객체)을 할당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담긴 exports 객체를 require()로 받음) (2)exports.프로퍼티 —> 메서드, 프로퍼티를 여러 개 내보낼 수 있음 (module.exports 객체에 할당된 값 자체를 require()로 받음) 모두 module.exports객체를 반환하므로 사실상 이 둘은 동일한 객체 require인자에는 파일 뿐 아니라 디렉터리를 지정할 수도 있음. 2024.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