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저장소
깃은 작성된 소스 코드 파일의 모든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데 이러한 변경 사항을 전용 저장소(repository)에 저장
깃 저장소는 외형적으로 폴더와 유사 But, 내부적으로 구조가 다름
별도의 숨겨진 영역(숨겨진 폴더)이 있는데,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에 필요한 필요한 파일 변경 이력을 기록
초기화
이미 존재하는 폴더에 초기화 명령어를 통해 VCS관리를 위한 숨겨진 영역을 생성하는 작업
기존 폴더에 숨겨진 영역(숨겨진 폴더)을 추가하는 명령어 -> 숨겨진 영역을 추가함으로써 깃 저장소로 변경
워킹 디렉토리
=워킹 트리
깃은 '작업을 하는 공간(working)'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stage)', '실제로 저장하여 기록하는 공간(repository)'로 나눔
워킹 디렉토리는 '작업을 하는공간'을 의미 -> 단순하게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생각
Untracked / tracked
깃은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tracked(추적됨)과 untracked(추적되지 않음)상태로 구분
untracked(추적되지 않음) = 깃이 자동으로 관리해주지 않는 상태
tracked(추적됨) = 관리할 파일 목록에 등재된 상태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깃은 tracked와 untracked 구분을 사용해서 파일 관리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 개념정리(5)-로그 기록, diff 명령어 (0) | 2023.10.01 |
---|---|
깃 개념정리(4) - 파일 등록 취소 (0) | 2023.10.01 |
디폴트 브랜치를 master->main으로 만드는 방법 (1) | 2023.09.25 |
깃 개념정리(3)-커밋,등록,HEAD (0) | 2023.09.17 |
Git 개념정리(2)-stage/unstage,modified/unmodified (0)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