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28 <JavaScript>String메소드 자주쓰이는 것들(임시 포스팅) String.slice() String.repeat() String.replace() + 정규표현식 String.prototype.substr() 2023. 3. 28. <Javascript>Array메소드 Array.prototype.reduce() arr.reduce(callback[, initialValue]) reduce()는 빈 요소를 제외하고 배열 내에 존재하는 각 요소에 대해 callback 함수를 한 번씩 실행하는데, 콜백 함수는 다음의 네 인수를 받습니다: accumulator = 누적값 currentValue = 순회할 때 현재 배열 값 currentIndex 콜백의 최초 호출 때 accumulator와 currentValue는 다음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reduce() 함수 호출에서 initialValue를 제공한 경우, accumulator는 initialValue와 같고 currentValue는 배열의 첫 번째 값과 같습니다. initialValue를 제공하.. 2023. 3. 25. <JavaScript> 정수를 정수 배열로 변환 정수값을 정수 배열로 변환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입력된 정수의 각 합을 구하는 코드로 예를 들어보자면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정수를 우선 문자열로 변환 //정수를 바로 숫자배열로 변환 //배열의 각 요소를 합 //ㄴreduce메소드 활용하면 다시 배열을 정수로 반환할 필요 없이 누적 계산의 결과 값을 주기 때문에 바로 출력 가능 let st = String(n); let mapfn = (arg)=>Number(arg) let newarr = Array.from(st,mapfn); let ok1 = newarr.reduce((acc,curr)=>acc + curr); return ok1; } 정수를 우선 문자열로 변환 String()메소드 정수를 바로 .. 2023. 3. 21. <JavaScript>문자열을 배열로, 배열을 문자열로 반복적으로 계속 헷갈려서 정리 1. 문자열을 배열로..나올 때마다 헷갈린다. spread operater, arrayfrom, split 그냥 배열로만 할 때 ==> spread operator (+값이 문자열로 구성될 때만 가능함. 정수일 때는 'is not iterable' 에러 발생) 배열을 변환해서 새로운 배열로 ==>array from() let answer = new Array(phone_number) --> 이거는 그냥 인자가 1개인 배열을 만들 뿐 2. 배열을 다시 문자열로 -> join(), toString() join()의 경우 - 만약, separator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default로 ','가 들어갑니다. toStirng()의 경우 배열 요소마다 ',' 붙여서 문자열로 반환... 2023. 3. 18. JavaScript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배열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려고 하는데 Math.max(배열)을 하면 아래와 같이 Not a Number를 마주하게 되는데.. 해결책으로 전개 연산자가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활용하는 방법은 제일 간단하다. arr의 배열이 있다고 가정하고 arr의 앞에 '...'을 붙여주면 된다. Math.max(...arr) 이게 무슨 의미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아래와 같다고 한다. 그러면 이렇게 배열 요소들이 펼쳐져서 매개변수로 들어가므로 배열을 그대로 매개변수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2023. 3. 11. JavaScript <문자열배열 출력하기> 17개의 CSS2 색이름과 색 더 쉬운 코드를 써서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었는데 뭔가 더 복잡하게 풀어버린 느낌 console.log로 계속 출력하면서 배열에 저장된 값을 확인함! Node.appendChild, Node.inserBefore 활용에 더 익숙해질 필요 있어보임. 반환값으로 무엇을 반환하는지 잘 파악해야하고, 배경색 설정할 때 ""큰 따옴표를 직접 입력해야하는 지 헷갈렸는데 그냥 배열 값 그대로 반환하면 큰 따옴표도 같이 입력되는 듯!(ex --> colorNames[1] = "red") #더 간단히 푸는 방법 내가 직접 짜본 코드랑 비교하교 보니 좀 허무하긴 했는데 일부러 어렵게 풀어봤다고 생각하기로 하기로 .. --> 그냥 텍스트 그대로 반복문으로 돌려서 출력하면 되었다고 한다. 아래는 2023. 3. 7. 이전 1 2 3 4 5 다음